안녕하세요!
온라인 마케팅 전문기업
그루브애드 조단비 컨설턴트입니다 :)
오늘은 마케팅 기본 용어 중에서
가장 기본적이고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
용어인 ROI, ROAS (알오아이, 로아스)
이 두가지 용어에 대해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.
먼저 알오아이에 대해서
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이며,
알오아이라고 읽습니다.
참고로 경영학의 용어이긴 하지만
널리 쓰이고 있는 용어이기에
꼭 경영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랍니다.
금액이나 시간 등을 투자했으나
원하는 목표만큼 이루지 못 했을 때
빗대어 설명하기도 합니다.
(ex : '대학은 알오아이가 안 좋아요' )
여기서는 투자비용 대비 이익률입니다.
ROI는 범위가 큰 단어라고
생각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예를 들어 마케팅을 진행할 때
고려해야 할 많은 요소들 중에
꾸준히 진행하며 쌓았던 데이터들과
매출에 영향이 끼칠지 안 끼칠지의
확신이 안 서는 매거진 콘텐츠 등등이 있습니다.
이 모든 것들을 고려하고 통틀어서
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자주 사용한답니다.
알오아이의 계산법은 이익을
투자로 나눈 값입니다.
만일 어떤 프로모션에 만족하는
내용이 1000만원이 넘었고,
3000만원의 이익이 남았다면
ROI = 3000/1000으로 계산 해보면 3이 됩니다.
여기서 퍼센테이지로 보여주기 위해서
곱하기 100을 해주고 %를 붙여줍니다.
그러면 300%가 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으며,
그 프로모션의 알오아이는 300%라고 할 수 있습니다.
퍼센트를 보고 얼마나 효율적인
투자였는지 파악이 가능하다는 겁니다!
만일 앞서 진행한 프로모션이
500만원의 비용을 써서 2000만원의
이익이 남았다면 알오아이는
400%가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보통 ROI에는 여러가지 광고나
콘텐츠 요소들을 합해서 투자의 개념으로
보이는 걸 알 수 있는데요.
알오아이는 단순합니다.
어떻게 적은 비용으로 최대 효율을
낼지를 위해서 계산하는 것이랍니다!
두번째로는 ROAS입니다!
로아스란? Return On Spend의 약자이며,
알오에이에스 또는 로아스라고 불립니다!
이건 조금 더 광고의 용어인데요!
대표적으로 네이버 키워드 광고를
진행할 시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고
비교를 할 때 로아스로 나타내면 된답니다.
그런데 로아스는 한두가지의 광고만
집중적으로 진행할 때보다는
채널이 더 많을 때 진행하는 것이
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답니다.
예를 들자면 네이버, 페북, 구글,
다음, 언론, 카카오 등
많은 채널들에 지속적으로 특성이나
비용들이 다르기 때문에
ROAS를 통해 어떤 채널에서 얼마나
효과적인지 비교를 하는 겁니다.
로아스는 수치를 측정할 때
광고비를 분모에 두고,
매출(수익)을 분자에 둡니다.
만약 A사에 광고 비용을 200만원 정도
투자를 해서 2000만원의 매출이 나왔다면?
로아스 = 2000/200으로
계산 해본다면 10으로 나옵니다.
이것도 백분율(%)로 나타내기 위해
곱하기 100을 하고 %를 붙여줍니다.
그러면 1000%가 되는 것을
확인 하실 수 있으실텐데요!
ROAS가 1000%로 달성했다는 뜻으로
광고비 대비 매출은 이만큼이라는 것을
알 수 있습니다.
만약 B사는 로아스가 100%이고
A사는 300%라면 어디가 좋을까요?
물론 높을 수록 좋습니다.
A상사에 조금 더 광고비를
투자 해볼만도 할텐데요/
이 또한 광고 비용을 적게 사용하면서
로아스가 높을 수록 좋은 것입니다.
다만, 로아스는 광고의 영역이기 때문에
마케팅 전체를 아우른다고 볼 수는 없답니다..!
다음으로는 로아스와 알오아이의
주의사항과 차이점에 대해서
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주의 사항은 두 개의 용어 중에
수익과 이익을 구별 해주셔야 한다는 부분입니다!
수익은 벌어들이는 매출(=수입)이고,
이익은 수익에서 비용을 제외한 값입니다.
알오아이는 투자 대비 이익이며,
로아스는 광고 비용 대비 매출(=수익)입니다.
이 점을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!
이상으로 ROI, ROAS의 뜻과
차이점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.
다음 포스팅에서도 유용한 정보들
가득 준비 해오도록 하겠습니다!
감사합니다 :)